행복의 나라로 가야 한다.
장막을 걷어라.
시대 역행이다.
쌍팔년도에도 이런 일은 없었다.
1970년대~1980년대 사이에 중국 죽의 장막(竹幕, Bamboo curtain)도 걷혔다.
1980년대 중반 소련의 철의 장막(Iron Curtain)도 붕괴되었다.
1989년에는 베를린(Berlin Wall) 장벽도 무너졌다.
2000년의 6.15 남북공동선언으로 남북 통일방안도 만들어졌다.
그런데 군사분계선(MDL, 休戰線)의 구조물에 웬 말이냐.
말도 안 된다.
당장 멈춰야 한다.
너무 합니다.
통일염원의 6월15일에 동족상잔의 6월 25일을 연상케 하는 일이 벌어지다니 어쩌다가 이 지경에 이르렀는지 참으로 야속하고, 매우 슬프고, 헤아릴 수 없는 분노를 자아내게 합니다.
<http://kimjyyhm.tistory.com> <http://blog.daum.net/kimjyyhm>
<http://www.facebook.com/kimjyyfb> <http://twitter.com/kimjyytwt>
(kimjyyhm@hanmail.net)
수필가/칼럼니스트/한국문인협회원/한국수필가협회원
공학석사/전기안전기술사/PMP, 사회복지사/요양보호사/국내여행안내사
https://youtu.be/ZxIjblh4lqk?si=rB89cqlexkfOzrXX
휴전선에 장벽 쌓는 북한…베를린 장벽처럼? 경계용 장애물?
장벽형태 구조물 곳곳에서 건설 중
등록 2024-06-14 23:
북한이 군사분계선(MDL, 휴전선) 곳곳에서 장벽 형태의 구조물을 건설 중인 것이 확인됐다.
14일 군 관계자는 “북한이 한반도 서쪽에서 동쪽까지 군사분계선 여러 지점에서 인력과 장비를 투입해 장벽으로 보이는 시설물을 짓고 있는 정황이 감시자산에 포착됐다”고 말했다. 이 관계자는 북한군이 짓고 있는 시설물의 용도에 대해 “북한군 활동에 대해서는 추가분석이 필요하다”고 설명했다.
군 당국은 북한군이 군사분계선 주요 지점의 경계를 강화하려고 장애물을 만들 가능성과 휴전선 248㎞를 동서로 잇는 긴 장벽을 쌓을 가능성이 모두 있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.
특히 북한이 올들어 남북관계에서 ‘통일’과 ‘동족’ 개념을 지우고 ‘적대적 두 국가관계’를 선언한 이후 관계 단절에 나서고 있어, 냉전 때 베를린 장벽을 연상시키는 긴 장벽을 휴전선을 따라 쌓아 남북 단절을 상징하려고 할 수도 있다고 본다. 현재 군사분계선에는 철조망이나 장벽이 없다. 정전협정을 보면 임진강에서 동해안까지 한반도 서쪽에서 동쪽까지 1292개의 말뚝을 박았고 이 말뚝을 연결하는 약 248㎞ 가상의 선이 군사분계선이다.
군 관계자는 “북한이 짓고 있는 구조물들이 주요 지점들의 방호·경계 시설물로 그칠지 군사분계선 전체 장벽으로 이어질지는 공사 진전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”며 “휴전선 전체 장벽을 만들려면 공사 기간이 몇 년이 걸릴 것”이라고 말했다. 이와 관련해 군 관계자는 “우리 군은 북한군의 활동을 면밀하게 추적·감시하고 있으며, 확고한 군사 대비태세를 유지한 가운데 비무장지대를 관할하는 유엔군사령부와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”고 말했다.
1970년대 후반 한국은 북한군의 남침에 대비한 대전차 장애물로 군사분계선 이남 2㎞ 지점인 남방한계선상 서부·중부 전선에 높이 5~6m 총 길이 30㎞인 콘크리트 장벽을 설치해놓고 있다. 1990년대 북한은 이 장벽을 ‘분단의 상징’이라며 철거를 요구했다. 북한도 동·서부 전선 여러 곳에 장벽 형태의 대전차 방어용 진지를 구축한 것으로 알려졌다.
권혁철 기자 nura@hani.co.kr
'사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965년과 2024년 (0) | 2024.06.16 |
---|---|
성패 成敗 (0) | 2024.06.15 |
진작 좀 알려주시지 (0) | 2024.06.09 |
김 병장입니다 (0) | 2024.06.08 |
탄소중립 갈마동 성당 (0) | 2024.06.06 |